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DTI와 신DTI의 차이점은? 뉴스 매체에서 부동산 관련 내용이 나올때 DTI란 용어와 신DTI라는 용어를 가끔 들을 수 있습니다.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이 차이점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TI는 무엇인가? DTI는 Debt To Income의 약자이고, 우리말로 해석하면 총부채 상환비율이라고 합니다. 풀어서 얘기해드리면 개인의 총소득에서 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합니다. 수학식으로 표현해 드리면 ① 연간 원리금 상환액 + ② (부채 × 기타부채 이자율) × 100 ③ 연간 총소득 ▶용어 풀이를 해 드리면 ① 연간 원리금 상환액 : 금융기관에서 차입하는 금액에 이자를 포함해서 1년간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는 금액을 의미합 니다. ② 부채 :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모든 부채를, 공시되는 부채 .. 더보기
등기부등본 열람 및 인터넷 발급 방법 매매계약을 하거나 임대차 계약을 통해서 전세를 구할 때 통상적으로 물건 정보 및 권리사항을 확인하기 위해서 등기부등본을 확인합니다. 부동산을 통해서 집을 구하기 전 인터넷으로 관심지역의 등기부등본을 열람하는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인터넷을 이용한 등기부등본 열람 방법 우선 첫번째 포털에서 대법원 인터넷등기소를 검색합니다. 두번째로 대법원 인터넷등기소를 선택하면 등기부등본 열람 및 발급할 수 있는 사이트가 나오게 됩니다. 서류를 제출할 이유가 없고 확인을 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발급용이 아닌 열람하기를 선택해서 내용을 확인하면 됩니다. 세번째로 주소를 입력해서 검색을 합니다. 검색 방법으로는 소재지번과 도로명주소로 검색을 많이 합니다. 최근에는 지도로 검색하는 방법이 추가되어 있으니 검색방법이 다양해진.. 더보기
등기부등본 보는 법 등기부등본은 무엇인가? 등기부등본이란 등기와 관련된 원본을 등사하여 작성한 문서이고, 등기라 함은 국가 기관이 법정 절차에 따라 등기부에 부동산에 관한 일정한 권리관계를 적는 일을 말합니다. 보통 매매계약시 또는 임대차 계약시에 부동산의 등기부등본을 열람해서 권리관계를 확인하는 용도로 많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등기부등본의 구성 등기부등본은 표제부, 갑구, 을구로 구분됩니다. 등기부등본의 표제부에는 토지와 건물의 지번, 지목, 면적 등이 표기됩니다. 집합건물의 경우(우리가 알고 있는 빌라, 연립,다세대, 아파트)의 경우에는 토지에 대한 전유세대의 지분을 나타내는 대지권비율도 표제부에 나타납니다. 등기부등본의 표제부에서 표시번호는 등기한 순서를 숫자로 나타낸 것을 의미하고, 접수라는 항목은 등기신청서를 접수.. 더보기
다이어트 일지 2번째 여름을 준비한 건강한 몸짱 만들기 나만의 30일 운동 노하우 및 다이어트 식단 30일 다이어트 운동 계획을 잡아 보겠습니다. 우선 1주일에 4일이상 운동하는 것을 목표로 잡고 7일동안 운동계획 및 4일 운동법을 잡아보겠습니다. 아마도 1주일 전부 운동 하기는 쉽진 않고 최소 4일은 운동해야만 유지 및 운동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루 운동계획은 웨이트 운동 50분에서 1시간, 유산소 운동 15분에서 20분을 소화하는 형태로 진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컨디션 상태에 따라 운동시간을 줄이는 경우는 있을 수 있지만 최소 50분에서 1시간 20분을 넘지 않는 계획입니다. 다음날 일을 해야 하므로 "너무 무리하게 운동하지는 말자" 라는 나만의 지침입니다. 운동 방법으로는 대근육 운동을 먼저 하고 소근.. 더보기

반응형